본문 바로가기
국공립위탁신청

'소속감(Belonging)'을 '2세 이음교육'으로, 뉴질랜드 교육 ㅣ2세 이음교육 연간계획서(12P)

by 상냥한비저너리 2025. 7. 1.

 

이음교육, 첫 직장 생활, 입사. 입학...

어린이집 운영계획서는

다양한 처지에 놓인 사람들이 만나고 헤어지고

다시 관계맺고 더 나은 삶으로 연결되도록

돕는 일을 담는 일인 것 같아요.

조금씩 다른 점이 있으나,

공통적으로 이들을 돕기 위해 필요한 요소

가치를 꼽는다면,

'소속감'(Belonging) 아닐까요?

 

더좋은보육채널 국공립_직장 원장되기_ 원포인트 업!!

 

더좋은보육채널 영유아학교 시범운영 계획서
더좋은보육채널의 영유아 안전시범학교 운영계획서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中

영유아 교육기관에서는 아이들의 편안하고 안정적인 적응을 위해 '적응프로그램'을 해오고 있습니다. 국공립어린이집 운영계획서는 '보육계획 및 지원' 내용으로 영유아를 위한 프로그램, 연령과 개별을 고려한 적응프로그램, 일과운영, 연간 및 월간 계획안 등을 구성합니다. 아이들을 위한 지원만큼이나 질적인 보육 서비스 유지와 관리를 위해서는 교사들도 '소속감'을 돕는 활동이 중요하다는 걸 우린 잘 알고 있습니다. 지리적인 특성으로 인해 교사들의 출퇴근이 어려울 때는 교사들을 위해서도 적응을 돕는 전략이 필요하기 때문에 어린이집에서는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기관에 소속감을 느끼도록 신경을 씁니다.

 

 

 

 

뉴질랜드는 국가수준의 영유아교육과정인 테 파리키 'Te Whariki'에서는 '소속감'을 교육과정의 큰 범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교육과정 핵심 가치로 소속감이 들어간 이유는 뭘까요? 소속감의 어떤 점이 교육과정에서 중요할까요?

 

대부분의 우리나라 영유아 교육현장에서는 적응 프로그램이나, 소속감을 주기 위한 교육은 3월에 한시적으로 진행하거나, 새롭게 입사하는 사람에게 잠시 적응을 돕는 안내 정도가 전부인데요. 뉴질랜드의 Te Whariki 교육과정은 우리나라의 '누리과정', '표준보육과정'과 같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으로 편성하여 전국 모든 영유아교육 기관에서는 이를 가르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Te Whariki 교육과정

5가지 분야에 대한 학습결과인 특성(dispositions)을

개발하여 담고 있습니다.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2016). 교육과정의 새로운 여정: 유아와 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학습과정,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5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우리나라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ECEC가 이원화 체제로 관리되고 있으나, 통합하여 운영되는 나라에 속하는 나라에서는 0세혹은세 부터 의무교육으로 포함시키는 체제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호주, 뉴질랜드, 북유럽 국가들이 해당됩니다. 그중에서도 '소속감'을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요소로 보고 반영한 나라가 뉴질랜드의 교육과정입니다.

Te Whariki의 5개 strands

1. 행복감​

2. 소속감

-유아와 가족은 소속감을 느낀다.

-유아와 가족 및 더 넓은 세계와의 연계를 지지하고 확장한다.

-유아는 소속될 수 있는 장소가 있다는 것을 안다.

-유아는 일상적인 일과 의례, 정기적인 행사를 편안하게 여긴다.

-유아는 수용가능한 행동의 범위와 한계에 대해 안다.

3. 공헌

4. 의사소통

5. 탐구

 

OECD(2012), Starting strong Ⅲ: A quality toolbox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France: OECD Publishing.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2016). 교육과정의 새로운 여정: 유아와 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학습과정,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5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Marg Sellers(2018, 101) 테 파리키 교육과정 안에 '소속감'

Marg Sellers(2018, 101). 테 파리키의 원리와 유형의 직조 돗자리(Ministry of Education, 1996:13)

 

Te Whariki의 이런 특성은

'가르치기' 보다 '격려되는 것'입니다.

 

각 분야에서 지식, 기술, 태도가 서술되었고, 실제 경험 사례를 제시하여 이러한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습니다. 교육과정이 사회적인 관계와 개인적 복지를 강조하기 때문에 학습 성과는 관계와 복지로 구성됩니다. 성과의 사례는 자신감과 정서적 요구를 표현하는 능력, 자신을 건강하게 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 자신과 타인의 복지에 대한 책임감 등을 포함합니다(OECD (2016).

" 소속감을 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룬 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한 사람을 환영하고,

따뜻하게 안아주는 공동체가 되기를

기꺼이 모두가 환영하는 것이 아닐까요?"

마치 씨줄, 날줄 엮어가면서

배움을 은유적으로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입니다.

 

이음교육과 소속감

2세 이음교육 연간계획서를 나누며...

 

우리와는 다른 사회문화적 맥락을 가진 나라 뉴질랜드여서 한국의 현장에 그대로 적용하거나 물리적으로 같은 선상에 놓고 비교하긴 어렵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 사회이든지 관통하는 가치는 있지요. 사랑, 믿음, 소망, 신뢰, 존중 등등. 저는 소속감도 그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테 파리키, 교육과정의 이름에서 느껴지듯이, 이제 우리 사회에 에서도각자의 살아온 문화와 삶의 결들을 직조를 짜듯이 배움의 관점도 차이가 있음을 바라봅니다

 

올해 저는 ESG, ESD 가치로 영유아 교육기관(G: 거버넌스)를 운영하도록 도움을 주고자 강의를 통해 다양한 기관의 사람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이 만남을 거듭하면서 느끼는 점은 '자기다운 꽃을 피워야 한다'였습니다. 독특한 뉴질랜드의 문화적 토양가운데 핀 꽃처럼, 그들만의 문화로 맺어진 테 파리키 교육과정처럼요. 어떤 사람은 한 번에 합격한 어린이집 운영계획서지만, 동일한 내용이어도 다른 누군가에서는 중도에 포기할 수 밖에 없는 넘사벽일수도 있습니다. 비교불가라는 말이 있듯이, 상대적으로 초라해보여 그래도 희망적인 것은 그 사람만의 강점이 있고, 그 사람만의 서사가 읽혀질 때 가장 빛나는 운영계획서가 된다는 걸 저는 늘 경험하며 살고 있어요.

 

 

소속감도 마찬가지예요. 소속감 하나의 가치를 나의 서사에 연결시켜 그린 그림은 나만의 스토리텔링으로 강력한 힘을 발휘합니다. 요즘 핫한 'ESG, ESD 가치' 를 운영계획서 곳곳에 연간계획으로 편성했다손 치더라도 그것이 진짜 내가 아는 것, 나의 서사에 뭍어나온 것이 아니라면 상대방에게 진심으로 다가가기 어렵고, 내 뜻대로 설득하기란 더욱 어려운 것입니다.

 

나아가 2세 이음교육에 관한 연간 계획서를 작성할 때에도 우리는 '소속감'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영유아가 다른 연령으로 전이할 때나, 어린이집에서 유치원 기관으로 이동할 때에도 '소속감'은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가치이기 때문입니다. 이미 교육부는 2세와 5세를 이음학기로 규정하고 있고, 교사는 이 연령을 이음교육의 적용할 대상으로 삼아 필요한 역량을 키르도록 교육과정을 재정향해야 합니다. 아래 내용은 2025년 개발한 이음교육 자료의 일부분입니다.

 

 

 

  • 2025년 국공립 위탁 핵심 노하우_ 이음교육 방향
  • 이음교육 방향성공적인 전이는 과정, 적응 경험은 기초역량을 잘 함양하는 것에서부터 시작·이해영유아에게 중점을 두어야 할 기초역량으로 4가지로 신체운동역량, 자기조절역량, 생애학습역량, 사회 정서역량 중심의 실천 프로그램 구성
  • 2세, 5세 대상의 연령은 이음학기 연령으로 학습준비도 지원 및 기초역량 지원성공적인 전이 과정 및 적응 과정 경험은 기초역량을 잘 함양하는 것에서부터 의미이음연령의 시기에 따라 연령 간, 기관 간 연계를 위한 준비도 경험이 필요
 

 

  • 가. 2세 이음교육: 기본생활습관, 신체운동 활성화, 기초역량(사회·정서) 중심으로
     
    2세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태도와 행동을 형성하기 위해 이음교육에는 사회정서 교육을 목표로 세우고, 구체적인 운영계획은 영아의 안정적인 사회관계 맺기를 도모하도록 편성한다.
    2세 영아가 기본생활습관을 몸으로 체득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시간과 반복 교육이 필요하다. 영아에게 반복하고 지속하는 기본생활습관 교육은 3-5세 누리과정과 연결하여 놀이중심으로 진행한다.
    영아가 자신의 일상생활을 영위함에 있어서 안전하고 바른 생활 습관을 형성하는 것은 기초적인 삶의 역량으로 매우 중요하다.
    발달특성을 고려하여 언어를 통한 일상생활의 여러 활동을 스스로 해보는 기회를 제공하고, 함께 지내는 교사나 또래와 놀이하는 경험을 통해 인지, 언어 발달을 촉진시키며 사회성 발달의 기초를 형성한다.

 

더 자세한 이음교육 내용은

아래_'2세 이음교육 연간계획안 '(12페이지)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편안함에 이르시길요. 행복한 7월 되세요♥

더좋은보육채널 금자씨 드림.

 

2025.7.1.

 


도움 자료 링크> 더좋은보육채널>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

이음교육_2세 연간계획안 https://naver.me/GmtocGLg